혈액은 심장의 펌프 작용으로 몸 구석구석에까지 산소나 영양분을 공급하는 동시에 이산화탄소(탄산가스)나 노폐물을 운반하는 작용을 합니다. 혈액검사는 전신의 건강 상태를 파악하는데 기본이 되는 중요한 검사이며 특히 적혈구나 백혈구, 혈소판 등을 조사하는 혈액 일반 검사는 건강진단에 필수적인 검사입니다.
빈혈, 간기능, 당뇨, 갑상선기능, 간염, 신장기능, 순환기검사, 면역, 통풍 등
정상치 | |
---|---|
공복혈당 | 70-110 mg/dL |
식후 1시간 | 140 mg/dL 이하 |
대변검사는 검변(檢便)이라고도 합니다. 주로 육안검사ㆍ현미경검사ㆍ기생충검사ㆍ변잠혈반응(便潛血反應)등으로 나눕니다. 이것은 소화관의 궤양과 악성종양을 진단하는 데 커다란 도움을 주고 있으며 기생충성 질환이 많은 한국에서는 중요한 일입니다.
신장에서 요가 배설되는 곳까지 어느 곳이 이상이 있으면 노폐물이 배설되지 않거나 배설되어서는 안 되는 물질이 요에 섞이게 됩니다. 이와 같은 경우의 이상을 검사하기 위하여 소변의 성분이나 성질, 양 등을 조사하는 검사입니다. 한번의 검사로 특정 질환을 확진할 수는 없습니다. 왜냐하면 일시적으로 이상반응이 정상적인 상태에서도 나타날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재검사에서도 이상반응을 보이면 신장이나 요로계의 정밀 검사를 받아 볼 필요가 있습니다.
안구의 구조는 흔히 카메라와 같아서 안구는 카메라의 어둠상자, 수정체는 렌즈, 홍체는 조리개, 눈꺼풀은 샷타, 망막은 필름에 해당됩니다.
폐의 기능은 공기가 폐에 출입하는 `환기 기능`과 산소를 폐에서 혈 중으로 보내고, 이산화탄소(탄산가스)를 혈액에서 체외로 내보내는 `호흡 기능` 의 2가지로 구별됩니다. 폐기능 검사는 이러한 몸 안의 환기 기능을 조사하는 검사입니다.
폐활량 | 표준치에 비해 얼마만큼의 폐활량인가의 비율 |
---|---|
노력성 폐활량 | 마음껏 들이마신후 단번에 내쉴 때의 가스량 |
1 초율 | 노력성 폐활량의 최초 1초간의 기체량을 노력성 폐활량으로 나눈 것 |
1초 환기량 | 안정 상태에서 숨을 들이마시거나 내쉴때의 가스량 |
예비 호흡량 | 안정 상태의 내쉬는 시접보다 더욱 최대로 노력해서 내쉴 수 있는 가스량 |
잔기량 | 최대로 노력해서 내쉰후 아직도 폐에 남아 있는 가스량폐활량과 잔기량을 더한 것이 폐의 모든 가스량, 즉 전폐기량인데 이것을 잔기량으로 나눈 것 |
폐활량(VC) | 남자 ; 32,00 - 48,00mL여자 ; 23,000- 32,00mL |
---|---|
%폐활량 | 80% 이상 |
노력성 폐활량 | VC의 95% 이상 |
1초율 | 70% 이상 |
1초 환기량(TV) | 400 - 600mL |
예비 흡기량(ERV) | 남자 ; 1,000 - 2,000mL 여자 ; 800 - 1,600mL |
잔기량 | 35% 이하 |
Closing Volume(CV) | CV/VC ; 0 - 25% |
일반 X-선 촬영과는 달리 원통이 있는 큰 기계에 사람이 들어가서 누우면 원통의 바깥에서 X-선 발생장치가 사람을 중심으로 원형으로 돌아가며 촬영합니다. CT 촬영을 하면 신체의 일정한 부위를 칼로 썰어서 보듯이 깨끗한 2차원 영상으로 볼 수가 있습니다. 또 촬영이 된 후 컴퓨터를 이용하여 계산하므로 인체의 아주 작은 조직간의 밀도 차이도 구별할 수 있어 질병의 조기 진단뿐 아니라 구성까지도 세밀히 볼 수 있는 검사법입니다. CHEST CT - 담배를 장기간 피웠거나 간접흡연에 노출되어 있는 경우, 흉부 X-선 사진만으로는 폐암의 조기발견이 어렵습니다. 폐 CT검사 의 필요성이 있습니다.
전립선암은 60대 이상의 노인에게 주로 발생하는 악성종양이며, 최근 평균수명이 증가함에 따라 남성의 경우 전립선비대증과 함께 전립선암의 발생빈도도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추세에 있습니다. 전립선암은 직장수지검사, 전립선초음파, 혈중 전립선 특이항원검사(PSA), 전립선조직검사 등을 통해 진단하게 됩니다. 초음파 진단기를 이용하면 내부 장기의 단면을 여러 각도에서 손쉽게 볼 수 있으므로, 전립선의 질환도 보다 빠르고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습니다. 특히 직장수지검사를 통해 확인할 수 없는 전립선 주변부 이외의 부위, 즉 중앙부와 이행부에 발생하는 약 25% 정도의 암도 초음파 검사를 병행하면 조기에 진단하는 것이 가능합니다. 검사는 초음파 발진기를 직장 내로 삽입하여 실시합니다.
골밀도 검사 우리 몸의 뼈는 나이가 들면서 점점 약해지게 됩니다. 특히 여성은 갱년기 이후에 여성호르몬(에스트로겐)의 변화로 급격히 뼈가 약해지기 때문에 골다공증에 걸리기 쉽습니다. 골다공증이란 형성된 뼈의 유지가 잘 되지 않아 뼈 속의 치밀한(단단한) 정도가 약해지는 질환으로, 뼈가 엉성해지고 약해져서 경미한 충격에도 쉽게 골절이 될 수 있습니다. 이런 골절의 위험을 조기에 발견하기 위해서 골다공증 검사를 해보는 것이 좋습니다. 골다공증은 1차성 골다공증과 2차성 골다공증으로 분류됩니다. 1차성 골다공증은 폐경 및 폐경 후 에스트로겐치의 감소 때문에 일어나는 빠른 골손실을 의미하며 이는 대부분의 골다공증의 원인입니다. 2차성 골다공증은 질환 또는 약물 등에 의하여 기인된 골다공증을 일컫는 용어입니다. 내분비질환(갑상선 기능 항진증 등)과 음주와 흡연, 각종 약물(부신피질호르몬, 항암제 등)의 복용으로 인하여 2차성 골다공증이 초래될 수 있습니다.
사람은 나이가 들면서 온 몸 또는 신체의 한 부위가 저리고 차갑게 느껴지는 때가 있습니다. 모든 경우는 아니지만 흔히 혈액순환이 안된다고들 생각합니다. 노화가 진행되며 신체대사가 이루어지지 않아 느껴지는 증상이 대부분 이지만 실제로 혈관의 노화가 진행되어 전신적인 동맥경화가 진행되고 있을 수 있습니다. 이러한 상태가 지속되어 뇌졸증이나 협심증등의 질환이 발생하게 되기도 합니다.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진행되는 동맥경화 정도를 미리 측정하고 대비할 수 있게하는 측정기기 입니다.
복부(Abdomen) CT는 위, 간, 담낭, 췌장, 신장 등의 상복부와 대장, 방광 등의 하복부 소화기계 질환의 진단에 유용한 검사입니다. 또한 상하복부 및 주변 혈관질환의 진단이 가능하며, 각종 암의 경우 병변의 정확한 위치와 크기 파악뿐만 아니라 병기 결정(Staging)과 다른 복부 장기로의 전이 여부를 파악하는데 필수적인 검사입니다. 고성능의 다중 채널 검출 CT의 도입으로 1회의 호흡 정지 중에 전체 복부의 고화질 데이터를 얻습니다. 얻어진 횡단면 영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관상면과 시상면의 영상 재구성을 시행함으로써 입체적인 정밀 진단을 시행합니다.
비소 | 주요노출원 | 오염된 식폼, 살충제 ,농약,비료,제조제,광산, 목재 방부재,제련소,반도체 제조공정,염료,유리가공업 등 |
---|---|---|
독성 증상 | 소화기계증상,호흡기자극,피부색소침착.알러지성 피부염,간/비장비대,근신경계장애,방광암,피부암,간암,신장암,저체중아,기형또는 유산 | |
경계범위 | 이상범위에는 못 미치므로 관련 특이 증상이 나타나지 않음. 생활 환경 개선을 통해 비소 노출을 최소화 하실 것을 권장 | |
이상범위 | 비소 중독에 대산 임상적 평가와 관련 추가 검사가 필요 또한 생활 환경에서 노출원을 찾아야 하면 이를 통해 비소 노출을 최소화 | |
납 | 주요노출원 | 윤활유, 페인트,염색약,배터리,낡은 배관,오염된 식품,오염된 장난감 등 |
독성 증상 | 빈혈,두통,복통,근신경계 장애,성장/발달 지연,인지기능장애,간질성장애,집중력 장애, 광잉행동 장애 ,신장기능 이상등 | |
경계범위 | 이상 범위에는 못 미치므로 관련 특이 증상이 나타나지 않을 수 있음. 그러나 생활 환경 개선을 통해 납 노출을 최소화 하실 것을 권장 | |
이상범위 | 납 중독에 대한 임상적 평가와 관련 추가 검사(빈혈검사)가 필요.생활 환경에서 노출원을 찾아야 하며 이를 통해 납 노출을 최소화. | |
수은 | 주요노출원 | 치과아말감,대형어패류,방부재,살균재,성분 불명의 화장품,염색약 등 |
독성 증상 | 고혈압,우울증,만성피로,식용부진,운동장애,시각장애,청각장애,언어장애 등 | |
경계범위 | 이상 범위에는 못 미치므로 관련 특이 증상이 나타나지 않을 수 있음. 그러나 생활 환경 개선을 통해 수은 노출을 최소화 하실 것을 권장 | |
이상범위 | 수은 중독에 대한 임상적 평가(신경학적 이상)와 관련 추가 검사가 필요. 또한 생활 환경에서 노출원을 찾아야 하며 이를 통해 수은 노출을 최소화. |
|
카드뮴 | 주요노출원 | 용접,연소연료,폐인트,배기가스,도금제품,흡연 등 |
독성 증상 | 발열,오한,호흡관리,구토,저혈당,동맥경화,죽상경화증,순환장애,심장질환 등 | |
경계범위 | 이상 범위에는 못 미치므로 관련 특이 증상이 나타나지 않을 수 있음. 그러나 생활 환경 개선을 통해 카드뮴 노출을 최소화 하실 것을 권장. | |
이상범위 | 카드뮴 중독에 대한 임상적 평가 (신경학적 이상 및 골다공증)와 관련 추가 검사가 필요. 또한 생활 환경에서 노출원을 찾아야 하며, 이를 통해 카드뮴 노출을 최소화. |
|
알루미늄 | 주요노출원 | 호일, 제산제, 캔, 베이킹 파우더 등 |
독성 증상 | 폐섬유증 ,신부전, 간괴사, 기억력 저하, 치매, 조화 운동 블능 등 | |
경계범위 | 이상 범위에는 못 미치므로 관련 특이 증상이 나타나지 않을 수 있음. 그러나 생활 환경 개선을 통해 알루미늄 노출을 최소화 하실 것을 권장. | |
이상범위 | 알루미늄 중독에 대한 임상적 평가(신경학적 이상)와 관련 추가 검사가 필요. 또한 생활 환경에서 노출원을 찾아서 이를 통해 알루미늄 노출을 최소화. | |
크롬 | 주요노출원 | 도금,가죽태닝,페인트,음식물,스테인레스,철강,목재가공, 도금 산업 종사자,MOM시술 환자 |
독성 증상 | 신장, 간, 소화기,심혈관계,신경계 이상 등 | |
경계범위 | 이상 범위에는 못 미치므로 관련 특이 증상이 나타나지 않을 수 있음. 그러나 생활 환경 개선을 통해 크롬 노출을 최소화 하실 것을 권장. | |
이상범위 | 크롬 중독에 대한 임상적 평가 (신경학적 이상)와 관련 추가 검사가 필요.또한 생활 환경에서 노출원을 찾아야 하며, 이를 통해 크롬 노출을 최소화. Metal-on-metal 인공 고관절 시술환자의 경우 1.0ug/L이상으로 증가시 인공 고관절의 마모를 시사함. |
|
코발트 | 주요노출원 | 바위,토양,물,식물,동물,MOM시술 환자등 |
독성 증상 | 천식,폐렴,피부염, 신경계 이상 등 | |
경계범위 | 이상 범위에는 못 미치므로 관련 특이 증상이 나타나지 않을 수 있음. 그러나 생활 환경 새건을 통해 코발트 노출을 최소화 하실 것을 권장. | |
이상범위 | 코발트 중독에 대한 임상적 평가 ( 신경학적 이상)와 관련 추가 검사가 필요. 또한 생활환경에서 노출원을 찾아야 하며, 이를 통해 코발트 노출을 최소화. Metal-on-metal 인공 고관절 시술환자의 경우 1.0ug/L이상으로 증가시 인공 고관절의 마모를 시사함. |
|
니켈 | 주요노출원 | 다양한 합금의 재료(장신구, 동전, 전기 접전 및 전극, 점화 플러그 및 기게 부속품, 스테인리스 스틸 등의 내부식 합금 ) |
독성 증상 | 접촉성 피부염,분진 흡입시 비인두 및 호흡기계 독성 ( 비염, 부비동염,비중격 천공,폐부종,천식,호산구성 폐렴등)섭취시 위장 자극 증상, 신장 독성 신장암 및 호흡기계 암 발생 위험성 증가 |
|
경계범위 | 이상 범위에는 못 미치므로 관련 특이 증상이 나타나지 않을 수 있음. 그러나 생활 환경 새건을 통해 니켈노출을 최소화 하실 것을 권장. | |
이상범위 | 니켈중독에 대한 임상적 평가와 간련 추가 검사가 필요. 또한 생활 환경에서 노출원을 찾아야 하며. 이를 통해 니켈 노출을 최소화. |
셀레늄 | 임상적 의의 | 셀레늄은 체내 glutathione,iodine,thyroid대사와 산화 환원 반응에 적용하여 항산화 기능을 갖는 미네랄 |
---|---|---|
과다증상 | 소화기계증상,호흡기자극,피부색소침착.알러지성 피부염,간/비장비대,근신경계장애,방광암,피부암,간암,신장암,저체중아,기형또는 유산 | |
부족증상 | 이상범위에는 못 미치므로 관련 특이 증상이 나타나지 않음. 생활 환경 개선을 통해 비소 노출을 최소화 하실 것을 권장 | |
풍부음식(섭취원) | 비소 중독에 대산 임상적 평가와 관련 추가 검사가 필요 또한 생활 환경에서 노출원을 찾아야 하면 이를 통해 비소 노출을 최소화 | |
구리 | 임상적 의의 | 구리는 금속 효소의 구성 요소로 산화/환원 반응. 전자 전달 반응 담당. 콜레스테롤 및 관련 호르몬 , 포도당대사,metaltonin같은 색소 형성에 필수 |
과다증상 | 간/ 신장 손상, 신경퇴행성 질환, 심장 질환, 망막 퇴화,수축기 혈압 상승, 학습 및 정신 장애 등 | |
부족증상 | 극심한 피로, 우울증, 빈혈, 기억력 저하, 미숙아 등 | |
풍부음식(섭취원) | 소간, 돼지간, 견과류, 두류,귤, 가재,패류 등의 해산물, 코코아, 버섯, 곡류 배아 , 말린 과일, 바나나, 토마토, 감자등 | |
아연 | 임상적 의의 | 아연은 생체내 세포를 구성, 생리적인 기능 조절하는 대표 미네랄, 아연 보충제 과다 복용, 암전이, 신부전 등의 원인으로 증가 될 수 있음. |
과다증상 | 메스꺼움 , 구토, 복통, 장기간 지속적으로 노출되면 빈혈, HDL콜레스테롤 감소 등 | |
부족증상 | 기면, 이기 (altered taste), 설사 , 발진 등 만성 피부질환, 상처 회복 지연, 탈모, 면역기능 저하, 발육지연, 야맹증, 생식기능 이상 등 | |
풍부음식(섭취원) | 동물성 식품, 어패류, 전곡류(외피에 풍부하므로 지나친 도정시 아연이 손실됨) 콩류 등 | |
망간 | 임상적 의의 | 혈중 망간 농도는 직업적 노출, 음용수,보충제를 통한 과다 섭취등의 원인으로 증가 할 수 있음 |
과다증상 | 고농도 장기 노출된 경우 '망간 중독증'이라 불리는 영구적인 신경장애가 발생 할 수 있는데, 손발떨림, 보행장애, 안면근육 경련, 생동장애, 운동장애, 폐렴, 폐기능 저하, 생식기계에 영향 등 |
|
부족증상 | 피부발진, 생리전 증후군, 항산화작용 저하, 지질 및 탄수화물 대사 장애, 암모니아 제거 장애, 생식기능 장애 등 | |
풍부음식(섭취원) | 호두 , 땅콩 등의 견과류 , 귀리, 전곡류, 시리얼, 콩류 등 | |
몰리브 데늄 |
임상적 의의 | 몰리브데늄을 포함한 보충제 과다 복용, 직업적 /환경적 노출(스테인레스 생산,합금 생산등) 등의 원인으로 증가 |
과다증상 | 통풍, 산화 스트레스, 구리 결핍(구리 배출증가로 인해) 등 | |
부족증상 | 천식, 호흡곤란, 부종, 피부염, 아나필락시스, 구리 독성 증가, 정신 이상 , 혼수 상태 , 운동 기능 장애 등 | |
풍부음식(섭취원) | 밀베아, 전곡류, 콩, 동물 간, 우유, 유제품 등 |